노트북에서 나는 고주파음 없애는 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터리 사용시 노트북에서 나는 고주파음의 원인이 4200RPM 하드라고 판단,

7200RPM 100GB 하드와 2기가 램을 주문했습니다만…

…아무 생각 없이 주문한 하드가 받아보니 IDE방식…. 제가 정신이 좀 없어요 요즘. orz

결국 restock fee등등 해서 돈 더 내고도 80기가 SATA하드로 바뀌어서 돌아왔습니다.

근데 고스트 복구 시키고나서 여전히 들리는 간헐적인 고주파음… ㅠ_ㅠ

외국 포럼을 한참 돌아다닌 결과, 원인은 core2duo CPU에 있었다는걸 알았습니다.

혹시라도 같은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 계실까 적어보자면… RMClock을 받아서

Advanced CPU Settings => Platform #1 => enable popup mode를 체크 해제해 주시면 됩니다.

평상시엔 크게 거슬리지 않아도 조용한 도서관 같은데 가서 키면 주변 사람한테 미안할 정도의

고주파음이란 말이지요 이게…

결국은 무의미한 하드 업그레이드… 흑흑

MS Zune 30GB 한글화 및 2.1에서 다운그레이드 법

Zune 2.1펌웨어는 무선랜 싱크와 아이팟 저리가라 싶을 정도의 아름다운 인터페이스가 장점이었으나…
1.x에서 편법으로나마 가능하던 동아시아권 폰트들을 쓸 수 없다는 것과, 쓸 수록 불편함이 느껴지는
Zune Software 2.2가 너무나 큰 압박으로 다가왔습니다.
어지간하면 ㅁㅁㅁㅁ로 표현되는 한글/일본어를 감수하면서 그냥 쓰려고 했는데, 너무나 제한적인 엘범 정리
때문에 도저히 안되겠더라구요. 그래서 여기저리 찾아보면서 반나절만에 겨우 한글화에 성공했습니다.

아래 적힌 Zune 한글화 방법은 scheme님께서 발견 하시고 블로그에 게시하신 것을파일 몇개를 미리 추출/생성해서 순서를 간추리고 조금이나마 더 이해하기 쉽게
첨언해서 재편집해 올린 것임을 밝힙니다.
좋은 방법을 널리 알려주신 scheme님께 감사드립니다. m-_-m

근데 따라하고 보니 같이 구입한 친구놈한테 설명할 길이 막막하더라구요.
링크만 달랑 주면 분명 이해 못할 것 같고…
그래서 좀 더 쉽게 풀어서 쓰고 파일 몇개는 미리 포함 시켜놓고 레지 수정 파일도 넣고 해서 재편집해 봤습니다.

참고로… 아래 방법으로 생기는 모든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

1. 준비물

1) 이 파일 을 받아서 temp폴더를 만들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2) 만약 OS가 한글 윈도xp인 경우 위 파일 안에 들어있는 set2eng.reg 를 실행해서 추가해주시고, [제어판] ->[국가 및 언어 옵션] 에서 [위치]United States로 바꿔줍니다.
(영문판인 경우는 그냥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3) 살때 들어있던 CD로 Zune Software 1.0 을 설치합니다.
설치 CD로 설치할때, 그리고 1.3 업그레이드 파일을 설치할때 인터넷에 연결 되어 있으면 바로 소프트 2.1을 설치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CD로 설치할때 잠시 인터넷을 끊어놓길 권유합니다.

4) Zune Software 1.3 업그레이드 파일을 받아서 설치
    -> 화면에서 repair를 선택해서 1.3으로 업그래이드 합니다.

5)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6 Update 3를 받아서 설치합니다.
(화면에 Java Runtime Environment (JRE) 6 Update 3 라고 써있는걸 받으시면 됩니다)

2. 설치

1) temp 폴더 안에 makecab.bat 를 실행하면 Zune01050485.cab가 만들어 집니다.
(xp가 영문판인 경우 East Asian Language Pack이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연결에서 오른쪽 클릭으로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더블 클릭 -> DNS 서버를 165.132.120.124로 설정 해주고,
-> DOS창에서 ping go.microsoft.com 을 실행해서 127.0.0.1로 ping이 가는지 확인 합니다.
dns 는 scheme 님께서 서버를 제공해 주신 것이기 때문에, 가끔 다운되는 일이 있다고 합니다.

3) 같은 폴더에서 DOS창을 열어서 java -jar ZuneFirm.jar을 실행해 줍니다. 그러면 httpServer running on port 80 이라는 말이 떠야합니다. 만약 어쩌구저쩌구 already in use라고 나오면 뭔가가 포트를 사용중인거니 해당 프로그램을 중단시켜줘야 합니다. (제 경우 skype를 꺼줘야하더군요.)
제대로 80 포트가 뜨면 이 창은 끄지 말고 놔둡니다.

4) 폴더내 ZunePatcher.exe를 실행하여 Zune Software의 zunelib.dll을 패치.

5) Zune본체의 back+up을 누르면 리셋이 되는데, 막 로고가 뜰 때 back+left+center를 눌러서
기기 완전 초기화를 해 줍니다.
    참고: zune key 조합에 따른 기능 설명 – ( 네이버 Zune 까페 구아바님께서 올려주셨습니다)

6) 그러면 컴퓨터에 연결하라는 말이 나오는데, 연결해주면 자동으로 Zune Software가 실행이 됩니다.
Firmware를 1.5로 업데이트하겠다는 창이 뜨는데, Next 를 눌러주면 에러 메세지가 뜹니다. 정상입니다.

7) 이제 C:\Documents and Settings\(본인 윈도우 계정명)\Local Settings\Temp에 가보면 {DCC90E02-B748-4CDA-9BD6-34E87CEBD20F} 이런식의 폴더가 하나 생겨있고, 안에는 eboot.bin, nk.bin, recovery.bin 의 세 파일이 있습니다. 이 폴더에다가 아까 [설치2-1]에서 만들었던 Zune01050485.cab 파일을 압축 풀어서 덮어 씌워줍니다.

8) 다시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면서 기기 리부팅이 두번쯤 되고 한글화된 1.2 펌웨어가
설치 됩니다. 만세-

=======================================================================================================

만약 이미 2.1로 펌업 하신 분은 일단 윈도에 깔린 Zune Software 2.2 만 언인스톨 해 주시고
위 방법 그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맑은 고딕 같은 다른 폰트는 폰트 크리에이터 등으로 font name을 수정하고 파일명을 바꿔주어야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1]의 Zune01050485.cab 파일은 구아바님께서 이미 만들어두신 클리어타입 완성판을 쓰면 매우 편합니다. 1.4 버전입니다. cab 파일 제작 과정이 생략되죠. (구아바님 감사합니다.^^)
http://cid-feb37581da76c672.skydrive.live.com/self.aspx/%ea%b3%b5%ec%9a%a9/Zune01050485.cab

한글화 하시는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P.S.-
1. 글 중간에 삽입된 핑크색 글씨는 리플에 하루는님께서 추가해주신 사항입니다. 감사합니다.

메모리스틱 정품과 가짜 구별법

얼마전에 eBay에서 메모리스틱 2기가를 샀습니다.
우편이 듕국에서 날라오길래 의심스러워서 알아보니… 역시나 가짜더군요.. orz
그래서 비교하면서 알게된 차이점을 한번 적어봅니다~


이 외에도, 당연하지만 가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느립니다.
정품이 읽기 10Mb/s / 쓰기 2Mb/s 인 반면 제가 산
가짜는 읽기 8.6Mb/s / 쓰기 1.6Mb/s 정도 나오더군요.

그리고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이 좀 다릅니다.
놀랍게도 가짜가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이 40~50메가 가량 더 크다더군요.;;

가짜는 메모리가 약간 더 두껍습니다.
듀오 어댑터에 끼워보면 좀 빡빡하게 들어가고 다시 빼기도 힘들고요.

그리고 지금 안건데.. 짜가는 뒷면 제품설명에 써있는 일본어 폰트의 두께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단 느낌입니다.

—————————————————————————————————–


근데 실제로 신경 안쓰고 보면 거의 구분하기 힘듭니다.
해외에서 메모리스틱 살때는 상기 차이점들을 찾아보세요.
이미 사용중이시면… 맘 편하게 그냥 쓰시고요..^^ 저도 싸게 샀으니 그냥 쓰려고 합니다.

년차별 예비군 훈련 일정과 알아두면 좋은 팁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저 몇년전에 예비군 동대에서 일했습니다. -_-
나름대로 빡실때도 많았지만 아무래도 출퇴근하면서 편하게 지냈지요. 이때 레진피겨도 만들고…

…근데 이야기는 이게 아니라.
여기저기 보면 예비군 훈련 일정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이 가끔 보여서 일일히 설명하기도 그렇고.. 한김에 대충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제 지식이 몇년 전것이고, 예비군 홈페이지를 참고해서 적는것이라 실제와 약간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일단 알아두시면 쓸모는 있지않을까.. 싶네요.

[#M_ >>> 길어서 일단 한번 접습니다. (클릭) <<< |도로 접습니다 (클릭)|
—————————————————————————————————

I. 예비군 훈련 일정

일단 제대하면 그해는 0년차 입니다.
2006년 2월에 제대한 사람은 그 다음해인 2007년 부터 1년차가 되어서 훈련 부과가 시작 됩니다.
마찬가지로 2006년 12월에 제대한 사람도 2월에 제대한 사람과 똑같이 2007년부터 훈련 나가야합니다.

1~4년차는 ‘동원지정’을 받으면 ‘동원훈련’ 이라는게 나옵니다.
이건 2박 3일간 부대에 들어가서 먹고 자면서 받는거고요.. 갔다오면 그 해는 끝입니다.

만약 동원’미지정’을 받으면 ‘동미참훈련’이란게 나옵니다. 이건 하루에 8시간씩 3일간 부대로 출퇴근하는거지요.. 추가로 향방작계훈련이 전반/후반기에 6시간짜리가 총 두번 나올겁니다.

시간상으로 보면 미지정이 될 경우가 더 많이 받는겁니다만..
지정되어서 동원훈련 가면 부대에서 자는 시간도 있고하니까요.
어떤 분은 좀 훈련이 많아도 출퇴근을 선호하시고.. 어떤 분은 그냥 빡시게 3일 들어갔다 나오는게 낫다는 분도 계시고.. 다양합니다.

지정이 되셨을 경우에 불참 혹은 연기하시면 후에 동미참훈련+작계두번으로 보충이 나옵니다.
(동원훈련은 무단불참하면 고발됩니다. 시간이 안되시면 연기하셔야 합니다. 이건 뒤에 더 설명을…)
하지만 미지정은
지정이 되지 않는한 동원훈련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냥 나오는대로 받으셔야합니다.

[동원지정 부분에 관한 설명을 나목님의 말씀으로 대체합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동원지정 같은 경우는 완전히 병무청으로 이관되어, 동원자원의 선택과 홍보 모두 병무청의 소관이며 전국단위 주특기가 아니라면 보통 시-도가 변경되면 해당 병무청의 관리를 벗어나므로 동원지정이 풀리게 됩니다.
동대에서는 병무청에서 내려주는 명부에 의해 동원자원을 관리하여 개입할 여지가 없습니다.. (단, 보류자 같은 특수한 상황은 제외합니다..)


5-6년차 역시 동원지정과 동원미지정이 훈련이 약간씩 차이가 납니다.
미지정은 기본적으로 ‘향방기본훈련’이라는 8시간짜리 부대 올라가야하는 하루 훈련과
전/후반기 향방작계 각6시간짜리 두번을 받습니다.

지정이 되면 같은 향방기본훈련 8시간을 받고, 4시간짜리 부대올라가는 소집점검을 한번 받습니다.
만약 이 소집교육을 전반기에 받았으면 후반기에 향방작계6시간 한번을 더 받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전반기에 작계했으면 후반기에 소집점검 나옵니다.)
미지정에 비해서 2시간이 적으나, 소집점검은 부대에 올라가야한다는 점에서 좀 더 귀찮을 수도 있지요…

7-8년차는 기본적으로 아무 훈련이 없습니다.
7-8년차의 존재의의는 불참 혹은 연기한 보충시간이 이월되어 7-8년차때도 부과되는 거지요.
[7-8년차 이월되는 훈련에 관해 수정합니다. Haru..님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월된 훈련은 해당 훈련이 처음 부과된 해로부터 2년이 지나면 종결처리가 됩니다.
즉 3년째가 되는 날 없어지는거지요. 그러므로 7-8년차때는 2년전인 5-6년차때 불참한 훈련을 받는게 되겠습니다.
(아래 표에 나와있는 비상소집점검 2시간은 뭔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8년차가 끝나면 민방위로 넘어가고 그 뒤부터는 동대관할이 아니라 동사무소 관할입니다.

                          단위: 시간

구      분

동원
훈련

동미참
훈  련

향방
기본
훈련

향방
작계
훈련

소집
점검

예비
시간

당해 연도 전역자(간부/병)

100

.

.

.

.

.

100

1~4
년차

동원지정자

100

28
(2박3일)

.

.

.

.

72

동원미지정자

100

.

24
(8시간
x3일
출퇴근)

.

12
(전/후반
6시간씩)

.

64

5~6
년차

동원지정자

68

.

.

8

6

4

50

동원미지정자

68

.

.

8

12
(전/후반
6시간씩)

.

48

7~8 년 차

68

.

.

.

.

(2)
(비상소집망점검)

68


1~6
년차

동원지정자

100

28
(2박3일)

.

.

.

.

72

동원미
지정자

장교

100

.

28
(2박3일)

.

.

.

72

부사관

100

.

24
(8시간
x3일
출퇴근)

.

12
(전/후반
6시간씩)

.

64

7~8 년 차

68

.

.

.

.

(2)
(비상소집망점검)

68

출처 : 대한민국 예비군 홈페이지 http://www.yebigun.mil.kr  (이해하기 쉽게 약간 수정.)

II. 그 외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

1. 보충과 고발
[동원훈련 부분에 관한 설명도 조금 수정 했습니다.]
동원훈련은 병무청에서 관리하며 그쪽에서 훈련을 부과합니다.
통지서도 동대에서 보내는게 아니라 병무청에서 직접 보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동대에서도 동원훈련 스케쥴을 받으나 동원훈련에 관해서는 아무래도 병무청에 직접 전화해서 알아보시는게 빠릅니다. 동원훈련은 무단불참하면 그대로 고발조치로 이어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불참해야할 경우엔 꼭 병무청에 문의을 해서 연기를 하셔야 합니다.
(“연기원서를 소집일 소집기일 5일전까지 지방병무청에 제출하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에는 전신,전화 등으로 우선 구두신고후 3일 이내에 구비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향방작계훈련, 소집점검, 동미참훈련, 향방기본훈련은
기본(우편통지서/홍보) (불참시) → 1차보충(인편통지서) (불참시) → 2차보충(인편통지서)
(불참시) → 고발(벌금)
이런 순서로 나아갑니다.

보시면 알겠지만, 인편으로 전달되는 보충훈련을 두번 연속으로 불참하시면 고발 입니다.
덧붙여, 장교동미참훈련 과 해군부사관 동미참은 기본교육때 인편으로 통지서를 전달하므로 1차보충(인편) 무단 불참하시면 고발 될겁니다.

가능하면 향방작계훈련은 집 근처에서 받는게 여러모로 편하고 좋습니다. 훈련도 그쪽이 편하고요.
고풍스런 칼빈 소총으로 스카이 콩콩도 탈수 있고(정말 이런분 있었음;;) 맛난 빵과 우유도 줍니다. -_-
다만 향방작계는 처음에 통지서가 우편으로 날라오니까 혹시라도 못 받을 경우를 대비해서 동대에 연락해서 스케쥴을 대충 알아두는게좋습니다. 좀 부지런한 동대에선 일일이 전화해서 훈련 여부를 알리기도 하는데.. 좀 막나가는 동대는 그런거 없더군요.-_-;
어찌저찌해서 동네에서 하는걸 놓치면 울며 겨자 먹기로 부대까지 올라가야합니다.(1차, 2차보충)
아무래도 좀 더 빡실 수 있으며.. 뭣보다 출퇴근하는게 매우 귀찮지요.

2차보충까지 불참하면 고발당합니다.;;;; 벌금도 많으면 몇십만원까지 나와서, 당하면 많이 슬플겁니다.


2. 훈련 연기에 관해.

연기는 가능하긴한데, 어지간해선 안해주려고하고… 하더라도 국가고시 같은 몇가지 특별한 시험이라던가 하는 사유가 아니면 안되는경우가많습니다. 일단은 동대에 전화해서 실무편람(예외조항 써있는 책이 있습니다)에서 연기사유에 해당되는 시험을 치시는지 여부를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연기하는거.. 서류가 복잡해지므로 상근들이 싫어하니까 가능하면 동대장이랑 직접 이야기하세요. -_-;
만약 된다면 필요한 서류들을 가져오라고 할겁니다.

훈련 기간에 해외에 잠시 나가야 하는 경우에도 연기가 가능합니다.
일단은 전화부터 하시고.. 여권과 비행기표를 가지고 가셔야할겁니다.

그 외에도 몇가지 사유가 더 있으니 일단은 전화로 동대장한테 문의해보시는게 좋습니다.

3. 훈련 안 받으려면?
합법적으로 안받으려면… 해외로 뜨시는겁니다. -_-;
6개월(180일)이상 해외에 나가있으면 그 기간 내에 부과되는 예비군 훈련이 없어집니다.
(하지만 그 기간보다 하루라도 못 미쳐 들어오시면 그 사이에 있던 훈련이 모조리 다 부과됩니다.=_=;;)
6개월내에 잠시(14일이내) 한국에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건 괜찮습니다.
그러나 역시 14일에서 하루라도 넘으면 완전귀국한 걸로 처리되므로 주의해야합니다.

영주권을 획득해서 동사무소에 신고할 경우 주민등록이 말소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럴 경우 더 이상 예비군 신분이 아니므로 훈련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민방위훈련도 안나옵니다.)
만약 말소가 되지 않았다면 정상적으로 훈련이 부과되니 주민등록 말소 여부를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1~4년차에 훈련이 많은데, 이때 대학에 입학/복학 하시면 매우 좋습니다.
대학내 예비군 중대에서는 1년에 8시간짜리인가 딱 한번만 받으면 끝이거든요.

학교 선생님이라던가 몇몇 공무원은 예외로 1년에 8시간인가 얼마 안되는 훈련만 여름에 받으면 됩니다.

그 외 자잘한 다른게 좀 더 있던것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4. 난 연기 사유도 안되고 훈련도 못받겠다!!
….피치 못할 사유가 있는데 연기사유에 해당도 되지 않고.. 1차는 물론 2차 보충 훈련이 나올때 까지도 훈련을 못받겠다.. 라는 분은.. (이런거 웹상에 써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훈련 며칠 전쯤에 서류상 전출을 가십시오. -_-
다른 동네 친척집이라던가에 이사 간걸로 동사무소에 신고하시면.. 그쪽 동대로 서류가 넘어가는데, 그 동안 훈련시기가 지나버려서다음 보충때 부과가 됩니다. 이 경우는 본인의 고의로 불참한 걸로 처리가 되지 않기에.. 1차 보충을 저렇게 빠지더라도 다음번에2차가 아닌 1차보충이 다시 나옵니다.
다만, 이렇게 너무 자주하다보면.. 동대장이 “이놈 고의 기피다.” 라고 판단, 고발해 버릴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아무리 열심히 도망다녀도 결국 7-8년차에 다 받아야하니.. 정말 긴급할시에만 하시던가요…;;
그리고 이 경우 상근들 훈련 앞두고 서류 고치고 보내고..하느라 죽어나니까..
이사 가시고나서 예의상.. “나 이사 갔다”고 빨리 전화 한통 넣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5. 이사는 못가겠고.. 어찌 안되나?
Q. 정말 가게/회사 일이 너무 바쁜데 전반기작계보충+동미참 2차보충훈련이 나왔다.
이거 안나가면 고발이라고하고.. 나가자니 4일이나 출퇴근하래서 가게/회사를 비워야하고.. 그렇다고 이사간다고 신고하는 것도 좀 그렇다. 어떻게하나?

A. 그러면 어쩔 수 없습니다. 일단 최소한 2차 보충시간의 50% 이상을 참석 하세요.
2차 보충이라도 훈련 시간의 50% 이상 참석하면 고발조치 당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시간은 다음번에 다시 보충 훈련이 나옵니다. (역시 참석 안하면 고발조치)

6. 그 외
잘은 모르겠는데, 요즘엔 인터넷상에서 예비군이 본인에게 맞는 훈련 날짜를 선택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무때나 선택은 아니고.. 정해진 훈련 예정일중에서 선택)
예비군 홈페이지에 따르면..
“인터넷 훈련신청은 기본훈련의 향방기본, 동미참훈련이 가능하며, 1차  보충훈련은 동원훈련제외하고 가능합니다. 선택일정이 없는훈련은 일정 확인만 가능합니다. 휴일훈련일은 소속 예비군부대에 확인 바랍니다”
…라고 합니다.

————————————————————————————————–

._M#]
.
.
위에서 말한건 어디까지나 규칙상이고요..
동대장 혹은 담당 상근들이 얼마나 일을 엉터리로 하느냐에 따라 열받는 일이 얼마든지 생길 수도 있습니다.=_=;;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몇년전 지식을 토대로 최근 자료를 보고 이야기한거라.. 조금 상이한 점이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하세요.

그래도 알아두면 일단 도움은 될겁니다. 우리 모두 지능적 예비군이 됩시다.

P.S. – 이 글을 보시는 상근분들께 심심한 사죄의 말씀을…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