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eeePC 901 구입 및 ZIF HDD 장착

사용자 삽입 이미지CD와 크기 비교.

요즘 떠들썩한 통칭 넷북이라 불리우는 그것 입니다.

여기저기서 우후죽순처럼 나오는 넷북들이 다들 똑같은 인텔 아톰 1.6GHz를 쓰는지라 고르게 되는 포인트는

결국 디자인과 기타 자잘한 성능차인데… 제 경우 이동성과 장시간 사용에 중점을 두고 골랐습니다.

요즘 주류가 되고 있는 10인치가 아닌 8.9인치, 그것도 901을 고른 이유는…

10인치는 현재 가지고 있는 12인치 타블렛PC와 크기가 애매하게 겹치는데다, 뭣보다 901 이

다른 8.9인치 넷북들에 비해 가로 길이가 1cm이상 작다는데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왼쪽부터… 10인치 MSI Wind 100U, 8.9인치 Asus eeePC901, 8.9인치 HP2133

일단 HP것은 CPU자체가 이미 논외(VIA)인데다 8.9인치 주제에 사이즈가 크시고… 배터리도 약하시고…

MSI Wind 100U과 eeePC901 사이에서는 는 꽤나 고민했는데, 사이즈가 크다는 것과,

뭣보다 3셀 배터리로 2시간 정도밖에 못간다는 점에서 탈락.

사진엔 없지만 8.9인치 Acer Aspire One도 있었습니다만 10인치 모델에 가까운 크기 문제로 역시 탈락.

eeePC901은 작은 사이즈와, 6셀 배터리 기본 장착으로 인한 5.5시간 변강쇠 등등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듯 보였으나… 치명적인 두가지 단점이 있었으니…


1. 소형화에 따른 쪼그만한 사이즈의 키보드. (MSI Wind는 일반 노트북 정도의 키보드 사이즈)

2. 내장된 저급 4기가(메인) + 8기가(보조) SSD.

워드가 목적이 아닌 이상, 작은 키보드는 대충 익숙해지면 되겠거니 싶지만 저 내장 SSD가 문제가 큽니다.

일반적으로 SSD면 속도라도 빠르겠거니~ 싶지만, 이게 애초에 그리 성능이 좋은 물건이 아닌지라

일단 HDD에 비해 ‘약간’ 빠른 정도이고 뭣보다 OS를 깔아야하는 C: 가 달랑 4기가라는 점이 문제.

4기가면 윈도XP깔고 쓰기에도 좀 애매한 용량이지요. 나머지 보조 8기가는 더 느린 SSD로써, D: 로 인식됩니다.

하지만 해외 포럼에서 901보드 안쪽에 ZIF 커넥터가 내장 되어있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를 이용한

1.8인치 HDD (아이팟 등에 달려있는 놈) 장착이 성공적하면서 이 방법이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근데 이에 맞춰(?) Asus에서 메인보드에 ZIF 커넥터를 쏙 빼고 출시하는 등, 나중에 구매하는 사람들은

손가락만 빨던가 50pin ZIF 커넥터를 사서 땜질하던가 해야만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또 생겼습니다. —

어쨌든.

이렇게 소소하게 개조(?) 하는 것도 전자기기를 사서 갖고 노는 하나의 재미인지라

땜질할 각오를 하고 eeePC901을 주문. 동시에 60기가 4200RPM ZIF HDD 와 케이블도 주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등짝을 따고 8기가짜리 SSD를 들어내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다행히 ZIF 커넥터가 달려있습니다. 럭키~ ㅠ_ㅠ 케이블을 연결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1.8인치 하드를 장착. 딱 들어맞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참고로 일반 노트북 HDD인 2.5인치와 크기 비교. 절대 안들어갑니다.
RAM도 슬롯이 하나인지라 1기가 짜리를 빼고 타블렛PC에서 쓰던 2기가를 박아줬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아무 문제 없이 2기가 램과 60기가 하드를 인식.

.

.

.

자… 그럼 요렇게 삽질해 만든 미니 노트북을 뭐하는데 쓰냐고요?

.

.

.

그야 물론…

.

.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로게 전용 머신 입니다 !!!

@∇@ b (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로게 오덕이닷~!!

(自爆)

ColorVision Spyder2 Suite – 캘리브레이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니터 색감이 급변한 관계로 뭔가 색에 대한 자신이 없어져서 (원래도 없었지만;) 구입한 모니터 캘리브레이터.

몇 년 전에만 해도 몇 십 만원 하던 물건이 었는데 운 좋게 eBay에서 60불에 낙찰.

다분히 성의 없는 종이 한 장 메뉴얼이 불만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나름 이름은 있는 메이커라는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카메라 직찍이라; 이미 색감이 어떻고 하다는게 아니라… 그냥 대~충 이런 정도 차이가 있었다는 것 정도만
봐주시길. 클릭하면 커집니다)

대체적으로 색이 바뀌었다기보다 명암이 확실해진 느낌입니다.

메인인 데스크탑을 캘리브레이팅 하고는 ‘생각보다 큰 변화는 없네…’ 싶었는데, 지인 노트북 액정을 해보니

엄청나게 차이가 나더군요. 거의 무슨 푸른색 레이어를 제거한 느낌이 들 정도로 확연히 좋아진 느낌.

실은 함께 들어있던, 화면과 프린터 출력물 간의 색 차이를 같게 해주는 printFIX PLUS 라는 프로그램도 많이

기대하고 있었는데… 망할 소프트웨어가 제 프린터를 지원해 주지 않았습니다… OTL

물론 제작사 홈피에도 추가 업데이트 따윈 없었음… ㅠㅠ

PS3를 위한 모니터 구입- Dell 2408wfp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로 전에 쓰던 Dell 2405fpw와 같은 24인치 모니터 입니다. 30인치로 가고 싶었으나 모니터 값도 감당 안될
뿐더러 그래픽 카드까지 갈아야하는데다 최적 해상도로 다른 게임을 하려면 시스템 전체적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와서 24인치에 안착. 솔찍히 크기 및 해상도에 크게 불만도 없어요.

그렇다면 왜 멀쩡한 24인치를 두고 바꾸었냐면… PS3를 연결하기 위한 HDMI 단자와 HDCP지원 때문 입니다.
두개의 DVI, VGA, HDMI, display port, composite, S-video, component 등의 입력 단자가 있고, 덤으로
USB 입력과 멀티 카드리더가 좌측 측면에 달려있습니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매우 만족스러운 모니터임에 틀림 없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첫째로, NTSC1953대비 102% 색 재현율이라 선전은 때립니다만… 뭔가 색이 지나치게 강해서
도저히 익숙해 지지가 않습니다. orz
이를테면 제 홈피 상단의 오랜지색이 거짓말 좀 보태서 형광 오랜지로 보이는 느낌이에요.
전체적으로 원색 계열이 팍팍 튀는 느낌입니다. 카메라라면 개성이라 생각하고 쓰겠는데, 모니터가 자기 주장이
강하다보니 내가 보고 있는 색이 다른 사람들이 보고 있는 색이 맞나 하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안 그래도 색감 없는데 포토샾으로 사진 보정하면서 자신을 더더욱 못 믿겠어요. =_=;;

둘째로 문제가 되는건… 어째선가 화면 전체에 포토샾 sharpen이 먹여져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이전 모니터를 쓰다가 막 연결하곤 어이쿠 싶었어요. 뭐라고 해야하죠.. 글자가 crisp하달까.
살짝 sharpen 먹여서 딱 좋게 맞춘 사진에서 약하게 한번 더 sharpen 먹여버린 듯한 거부감 입니다.
기본 세팅이 영 아니에요. 물론 모니터 설정화면에서 sharpness를 조정하는 기능이 있긴합니다만…
… 무식하게 25%씩 총 네단계로 조정밖에 안됩니다. orz
기본 세팅에서 한단계(25%) 낮춰 보면 또 약한 blur먹힌 느낌이 들어버린다는… ㅠ_ㅠ
다음 공정에서는 좀 더 미세한 세팅이 가능하게 바뀐다는 이야기가 있긴 한데,
그러려면 모니터를 교환해야 할 듯한데, 쌀나라에선 또 그거 한번 하려면 골때리고… 어익후.

…라지만.

사람 눈이란게 간사해서 일주일쯤 스트레스 받으며 쓰다 보니 그럭저럭 익숙해지는 것 같습니다. -_-

거 왜, 화장실 응가 냄새도 몇 초쯤 맡다보면 무감각해지는 것과 비슷한거 아닐까요. (…틀려!!)

좀 난감한 메인보드. Gigabyte GA-965P-DS3


DDR2램 2기가도 도착했겠다, 즐거운 마음으로 조립하다가 발견한 난점.

이 보드… IDE슬롯이 달랑 하나밖에 없다… orz

…라는건 DVDRW달면 쓰던 하드는 하나밖에 달지 못한다는 결론.
이전 컴에서는 CD드라이브, DVDRW드라이브, 80G, 120GB, 200GB 의 ATA133 하드 세개를 쓰고 있었으므로
총 3개의 IDE슬롯이 필요했던 것. …SATA2슬롯은 무려 6개나 달려있으십니다.
물론 주문할때 이런 점을 전.혀. 체크하지 않고 산 제 잘못이지요. =_=

해결방안. 1
IDE->SATA 컨버터를 끼워서 쓴다.
…다만 듣자하니 불안하고 속도도 상당히 느려진다는 듯.

해결방안. 2
외장하드 케이스를 사서 USB2.0으로 연결해 쓴다.
…역시 그만큼 느리고 거추장스러운 선들과 책상위 물건이 늘어난다.

해결방안. 3
IDE RAID카드를 구입해서 모조리 연결한다.

해결방안. 4
…IDE슬롯에 DVDRW와 200GB하드만 연결하고 나머지 하드들은 창고행,
그리고 SATA2 320GB하드를 하나 더 산다.

처음엔 1,2번에서 고민하다가 3번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가…
이왕 돈 들이는거 새로 사는게 낫겠다 싶어서 현재 4번으로 기울어서 추진중에 있습니다. =_=
다행히 다른 문제점은 보이지 않고… 속도도 빠르고, 처음 사본 nvidia의 그래픽 카드도
생각보다 괜찮은 느낌이라 만족스럽습니다.

…이제 몇년이나 쓸 수 있을까요??

컴팩트 디카 구입 – 파나소닉 FX01

컴팩트 카메라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뷰파인더는 과감히 생략. 매우 작습니다.
(참고로 전 다섯살때 이후로 담배 안피웁니다.)


내 마음 속의 카메라 변천사 –

펜탁스 istDs→
펜탁스 istDs2펜탁스 K100D → 소니α100 → ……파나소닉 FX01 =_=;

그렇습니다.

카메라가 나를 데리고 나가느냐, 내가 카메라를 가지고 나가느냐…
DSLR로 가려고 작년초 부터 고민해오다가 결국은 초컴팩트 디카로 돌아왔습니다.

펜탁스용 70-300mm 망원 렌즈와 가방까지 미리 질러뒀으면서…
(난 바보인가…) OTZ;;

< 여지껏 쓰던 캐논 파워샷S410(익서스430)과의 크기비교 >

어쨌든 덕분에 원하는때 언제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지 주머니 한쪽에 PDA와 함께 넣어도 부담 되지 않더군요.

여러 컴팩트 기종들중 돋보이는건 역시 28 mm의 광각이었습니다.
같은 컴팩트 디카인 코닥v570은 무려 23mm(!)의 초광각이긴 합니다만 흔들림 보정도 없고 실내 사진에는 쥐약이라는 평에 FX01로.
디자인도 v570이 더 좋았는데 말이죠…

다 좋은데 딱 한가지 문제는 사진이 의외로 어둡게 나온다는 것.
아직 익숙치가 않아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LCD화면에 보이는 물체를 찍으면 보이던 것보다
한두단계 어둡게 찍혀버려서 당황스럽더군요. 이 현상은 광량이 부족한 실내에서 두드러집니다.
익서스430은 빛이 부족하면 셔터스피드가 자동으로 늦어지면서 화면에 보이는 것과 같게 찍혔었는데…
화면에 괜찮게 보여서 찍었는데 어둡게 나오면 대체 어쩌라고…orz 예측해서 찍으란건지.
분명 업그레이드 된 스팩임에도 다운된 기분이 들더군요.
쓰다보면 나아지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