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eau de Segur – Sauternes 2003, Barolo La Loggia 2004, Jacob’s Creek Reserve – Shiraz 2006, Catena – Malbec 2007, Tormaresca Neprica 2007, Rodney Strong – Cabernet Sauvignon 2004, Girard – Cabernet Sauvignon 2005, Dr.Loosen – Riesling Kabinett 2007,…

분명 꾸준히 마시고는 있는데… 요즘은 어떤 와인이든 ‘대충 마실만하다’ 생각되면 크게 불만 없이
꼴깍대는지라 일부 정말 좋은 것 외엔 감상을 남기는 일이 적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저 게을러진거기도 하고;;)
몇 병인가는 사진 찍는 것도 잊고 버려서 모르겠고… 일단 방 구석에 남아있는 빈 병들을 나열하자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Chateau de Segur – Sauternes 2003
거의 만취 상태에서 생각 없이 꺼냈다가 맛도 모르고 마신 귀부와인.
다음 날 남은걸 마셔봤으나 꽤 오래 열어뒀던지라 향은 이미 없었고 맛도 이게 제맛인지 쉰건지 모르겠더라는…

Barolo La Loggia 2004
이탈리아산. …기억 안남.

Jacob’s Creek Reserve – Shiraz 2006
호주산. …기억 잘 안남. 괜찮았던거 같은데…

Catena – Malbec 2007
아르헨티나산. …기억 안남.

Tormaresca Neprica 2007
이탈리아산. Neprica가 지명이름인가 했는데 알고보니 Negroamaro, Primitivo, Cabernet Sauvignon의 약자.
그럭저럭 잘 마셨는데 인상에 남거나 하진 않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Rodney Strong – Cabernet Sauvignon 2004
P형님이 사와서 생각 없이 마셨는데 아주 괜찮았던 와인. 언제 기회되면 와이너리에도 한번 가볼 듯.

Girard – Cabernet Sauvignon 2005
D형님이 하사하신 꽤 고가 와인. 굉장히 강한 와인이었는데, 아직 때가 이른건지 어떤건지 산도가
튀기도 하고 해서 밸런스는 솔찍히 좀 안 맞았던 걸로 기억. 스테이크와 함께 먹으면 좋았을 듯.

Dr.Loosen – Riesling Kabinett 2007
Riesling이다~ 하면서 코스코에서 집었던 독일산 와인. 맛있었는데 다시 사기는 미묘한 정도.

Legaris Crianza 2005
드물게 스페인산. …기억 전혀 안남. –;

와이너리 몇군데 다녀온 것도 언제 정리해서 올려야하는데… 에고…

“Chateau de Segur – Sauternes 2003, Barolo La Loggia 2004, Jacob’s Creek Reserve – Shiraz 2006, Catena – Malbec 2007, Tormaresca Neprica 2007, Rodney Strong – Cabernet Sauvignon 2004, Girard – Cabernet Sauvignon 2005, Dr.Loosen – Riesling Kabinett 2007,…”에 대한 4개의 생각

  1. 그러니까 한국에서 흔히보는 자취생 방안에 굴러다니는 소주병들의 서양버전을 보는것 같아 눈이 즐겁습니다. ㅋㅋ

  2. 아 딱 그거에요. 그리 많이 마시는건 아니지만. ^^;;;;
    가격도 식당 가면 소주가 거의 $10 니까 그렇게 따지면 엇비슷하고 말이죠.

  3. Primitivo는 캘리포니아의 Zinfandel과 동일품종입니다. Zinfandel은 한동안 캘리포니아 고유종으로 여겨져왔지만, 이탈리아와 크로아티아계 이주민들에 의해 유럽종일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유전자 분석기법의 발달에 따라 조사해보니 실제 동일종이었다고 합니다.

  4. 언젠가 화장실에 상시 비치되어 있는(…) 와인스팩테이터를 읽다보니 비슷한 내용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종인줄 알았는데 유전자 대조해보니 실은 같은거였다- 뭐 이런 내용. 그래서 그
    동네 와이너리 수 많은 레이블들을 다 뜯어 고쳐야하냐 말아야하냐 고민이라는 내용이었는데…
    뭐 결국 미묘하게 다른 포도종은 유전자 대조라도 해보지 않는 한 전문가도 구별 못 한다는거 아닌가… 싶었습니다. ^^;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