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asonic Lumix G3 white

사용자 삽입 이미지아.. .손에 쥐기까지 참 오래 걸렸습니다. 발매 전에 무려 파나소닉 홈피에서 프리오더를 넣었는데,
발매가 되고도 두달이 되도록 재고 없다며 7월이다 8월이다 하더니 나중엔 9월쯤엔… 이러더라구요.
열 받아서 미국 파나소닉 CEO 이메일 알아내서 정중하게 불만을 토로했더니 이틀 후에 over night shipping으로 도착했습니다. -_-;;
역시 윗선에 찌르면 어떻게든 되는거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번들 14-42mm는 딱히 필요 없어서 여지껏 쓰던 GF1양과 함께 장터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디지털 뷰파인더가 무슨 프리더 2단 변신때 모습처럼 앞뒤로 튀어나와 있습니다만 그래도 있으니 좋더라구요.
그 아래는 회전식 터치 스크린입니다. 하드웨어 버튼이 넉넉해서 필요 없을거 같았는데 막상 터치가 되니 포커스 맞출 때 편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첫 인상은 조그만데도 꽉찬 느낌.
GF1은 뭔가 안이 텅 빈 느낌이었어서 더 줄일 수 있는데 일부터 이리 만들었나 싶었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B+W 메이드 인 저어머니의 위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GF1보다 그래도 좀 클거라 예상했는데 뷰파인더 부분을 제외하면 모든 면에서 같거나 더 작다는게 참 대단합니다.
가로길이는 G3쪽이 더 짧아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G3야 G3야 오래오래 잘 지내자꾸나. GF1양도 그간 수고했어…

근데 라이카 25.4 렌즈를 사려고 20.7도 팔았는데 이게 미국에 발매될 기미가 안보이네요…

아직도 프리오더중…. orz

반다이 1/100 VF-25F 메사이아 발키리 – 란카 마킹 버전

재주는 하세가와가 부리고 실속은 반다이가 챙기는건가요…? ^^;
VF-25F 란카 마킹이랑 쉐릴 마킹 둘 다 샀습니다. 안 살 수가 없었어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란카보다 쉐릴파 이기에 일단 먼저 란카로 실습.
도색은 없고 먹선은 콕핏 근방에 데칼이 없는 곳만 살짝 넣어줬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데칼은 습식도 아니요, 건식도 아닙니다. 투명 스티커에요. 생각보다 튼튼해서 살짝 잘못 붙여도 뗄 수 있고,
신축성도 있어서 상황봐가며 조금씩 늘려 붙이기도 가능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부품도 얼마 안되고 크기도 작아서 금새 만들겠거니 했는데,
수십 조각으로 나뉘어진 스티커를 하나하나 붙이다보니 어느새 하루가 지나있더라는…
그림 완성되어 가는게 마치 퍼즐 맞추기 같아서 재미있었습니다.

근데…

란카 하고나니 진이 빠져서 쉐릴 건드릴 엄두가 안나요…

orz

가난뱅이의 신티크… – 자작 액정 타블렛 (1)

사용자 삽입 이미지에.. .신티크 라는 물건이 있습니다. 그림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다들 아실 액정 달린 타블렛 입니다.
종이에 그리는 느낌으로 쓸 수 있는, 그림쟁이에겐 나름 환상의 아이템이지요. 다만 가격도 환상적 입니다. ;;
저는 진작에 재능이 전혀 없다는걸 깨닫고 (실은 그걸 극복할 열정도 없어서;) 잘 그리는 분들 그림을 보며 헤벌레하는 쪽 입니다만
그럼에도 신티크는 하나쯤 있으면 재밌겠다 생각하던 와중에 클리앙 Jimmy님이 올리신 자작 액정 타블렛 강좌를 보게 되었습니다.
요는 자기유도 방식의 일반 와콤 타블렛에 아이패드용 IPS패널 액정을 넣어주는 것. 실제로 신티크도 기본은 다르지 않겠지요.

아……… 해보고 싶어요. 재밌을거 같아요.

마침 십몇년전에 사뒀던 와콤 인튜어스1도 아직 갖고 있어요.

당장 쓸 일도 없고 성공해도 며칠 와이와이 하다가 장식해 두겠지만,

그래도 만들어보고 싶어요.

어디 해봅시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해서 도전.
혼자 와인 먹고 뻗었다가 어중간한 새벽에 깨어서 뭐하지… 하다가 시작한거라 조명이고 뭐고 없습니다.

모든 부품과 제작법은 Jimmy님의 것을 똑같이 따라하고 있습니다.
AD보드는 Jimmy님을 통해 구입한 것 입니다. 한참 전에 받아서 이제사 미국으로 공수 받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액정은 아이패드용 LP097X02. 9.7인치 1024×768의 해상도 IPS패널 입니다.
일단 간섭이 일어나는 알미늄 프레임은 다 제거해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액정 맨 윗부분 프레임은 잘라서 그대로 써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못난 주인 만나 몇번 제대로 쓰이지도 못하고 독수공방하다가 실험대에 오른 불쌍한 인튜1양. ㅜㅜ
누렇게 변색된게 세월의 흐름이 느껴집니다. (조명탓도 있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꼭 한번 뜯어보고 싶었지요. 대체 무슨 원리로 밧데리도 안들은 펜이 필압감지가 되는지.
근데 뜯어봐도 모르겠네요. (…)
어쨌든 액정은 크기가 딱 맞습니다. 6 x 8 인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다음 문제는 상판을 액정크기에 맞게 잘라주는거네요.
칼로 어떻게 안되나 했는데 플라스틱이 의외로 두꺼워서 힘들 것 같고…
아무래도 드릴 절단팁으로 대충 잘라낸 뒤 사포질로 마무리 해야할 것 같습니다.

.
.
.

근데 오밤중이라 드릴 돌릴 수도 없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 다음 이시간에… –

=3=3=3

(모든 크레딧은 Jimmy님의 자작 액정 타블렛 강좌 포스팅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랫만에 출조 결과.

HMB00.jpg 

큰 일도 대충 끝났겠다, 오랫만의 자유를 만끽하고자 큰 맘먹고 다시 배낚시에 도전.

지난번에 배멀미로 토하느라 지옥을 맛보았기에(…) 이번엔 약도 사먹고 파도도 잔잔한 날을 골라서 출조 했습니다. 

…그러나 지난번 만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역시 배멀미는 했고, 후반에는 제발 빨리 내리게 해달라 기도하며

구석에 쳐박혀 있었지요… ㅠㅠ

또 한 반년은 배낚시 생각 안날 듯.

HMB01.jpg

두명이서 볼락 20 마리. lingcod 1 마리.

 HMB03.jpg

17파운드(7.7키로) lingcod. 처음 잡아보는 대어입니다. 기록이에요.

처음에 배 탄 사람들한테 5불씩 걷어서 제일 큰놈 잡은 사람한테 몰아주는데… 덕분에 공짜로 다녀왔습니다.

HMB02.jpg

요 바로 전에 손바닥만한 새끼 가자미를 잡았는데, 이거 먹을거도 없고해서 그냥 놔주려는걸 캡틴이 보더니

그걸 미끼로 써보라고 해서 넣었더니 거짓말처럼 이놈이 덥썩 물었습니다.역시 큰 놈을 잡으려면 큰 미끼가 필요하다는 진리.

 HMB04.jpg

이빨 날카롭기가 바늘과 같아요. 잘못 잡았다가 손가락 아작났다능… ㅜㅜ

 HMB05.jpg

쓰레빠는 크기 비교용.

듣자하니 요즘 rockfishing이 성황이라 날씨만 좋으면 대부분 리밋(1인당 10마리)를 잡는다고 합니다.

오늘도 원래는 아침 7시부터 낮3시까지 낚는 배였는데 12시쯤엔 이미 다들 할당량을 채워서 일찍 들어왔네요.

그 외에도 최근 Halfmoon Bay 근처에 연어가 많이 출몰해서 꽤 성황이라는 듯…

근데 이거 회를 쳐도 먹을 사람이 없네요. 

정작 저는 물고기 내장 빼고 비늘 벗기고 회 쳐놓곤 질려서 샌드위치 싸먹고…. —

오늘의 교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의 조합 시도 :
사과 + 복숭아 + 크랜배리 쥬스 + 얼음 + 미숫가루… orz;;;

아………

내가 왜 그랬을꼬… 왜 그랬을꼬…. ㅠㅠ

요즘 이거 갖고 싶네요…

http://chokuhan.nicovideo.jp/products/detail/451

너무 사고 싶은데 망할 주문 한정인데다 쓸데 없는 레이싱 스폰서비 까지 붙여서 팔다니… 이런 악덕상회가 다 있나… 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아아아…….

아아아…

ㅜㅜ

Logitech – Wireless Trackball M57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별로 사고 싶어서 산건 아니고… 언젠가 Dell 에서 발행해준 $50 짜리 쿠폰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어가서 뭘 사야하나 하다가 구입.

딱히 전에 쓰던 Performance MX 마우스에 불만이 있었던건 아니지만 트랙볼이란걸 한번 쯤 써보고 싶었어요.

일단 직접 움직이는게 아니고 손을 올리고 쓴다는 쪽에 가까운지라 아주 큼직 합니다. 자연스럽게 손이 올라가 있는 모양새.

처음에는 트랙볼로 커서 움직이는게 영 어색하고 불편했는데, 한 두 달쯤 지나서 익숙해지니 이젠 손목으로 마우스 움직이는게

너무나 어색해요. 역시 뭐든 익숙해지기 나름인 듯 .

장점:
일단 익숙해지면 편하다.
움직일 필요가 없으니 책상 위 마우스패드 놓을 공간 절약.
무선.
AA 배터리 하나로 1년 반 정도 쓸 수 있다고 함.
Unifying receiver로 해당 기술이 적용된 로지텍 무선 제품들을 하나의 USB포트로 통합 제어 가능.
누가 컴 좀 쓰겠다고 앉으면 당항하는 모습을 보며 즐거워 할 수 있다.

단점:
처음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조금 걸린다.
한번 익숙해지면 다른데서 일반 마우스 쓸 때 어색하다.
게임은 가능하나 쉽지가 않다.
큼직한 것에 비해 내부가 거의 텅빈 플라스틱이라 싸구려틱한 느낌이 든다.
가운데 휠버튼 클릭 저항감이 세고 소음이 큰편이다. (찰칵이 아니라 떨꺽 뭐 이런 느낌;)
뒤로가가 버튼이 검지로 쓰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걸린다.
로지텍 마우스 특유의 무저항 휠(? 아래로 휘릭 굴리면 쭈우욱 알아서 돌아감)이 없다.

다른건 모르겠고 마지막 단점은 꽤 크게 다가왔습니다. 호불호가 갈리는 로지텍 마우스 특유의 휠 방식이긴 한데…
웹서핑 할때 스크롤링은 이만큼 편한게 또 없거든요.
아마 스크롤바 클릭하고 트랙볼을 굴리라는 취지에서 빼버린거 같기도한데, 상대적으로 편하진 않습니다.

뭐 또 익숙해지니까 그냥저냥 쓰기는 하지만…

Eye-Fi Pro X2 8 GB Class 6 SDHC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번 아마존 세일 할 때 샀습니다. 이게 무엇인고 하니.. SD메모리에 Wifi가 달려있어서, 카메라로 찍는 즉시 무선으로 노트북이나
iOS기기 혹은 안드로이드로 자동으로 파일을 전송해주는 아이디어 상품 입니다. JPG, RAW, 및 동영상까지도 백업이 됩니다.
이렇게 포스팅 대용으로 사진 한두장 대충 찍어 올리는 저같은 게으름뱅이한테 안성맞춤인 굿즈인 것이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찍으면 1~2초쯤 후에 자동으로 컴으로 전송이 시작됩니다. 물론 컴에는 Eye-Fi Helper라는 프로그램을 상주시켜야 하고요.
속도는 그냥 무선랜으로 파일 옮기는 속도 입니다. 느리지도 않지만 빠르지도 않은.
전송되는 파일은 자동으로 Picasa나 Flicker 혹은 YouTube 등에 올리도록 설정 할 수도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수정도 거치지 않은 파일들을 마구잡이로 온라인상에 올리는건 별로 좋아하지 않는지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점:
편하다.
게으름뱅이한테 좋다.
덜 귀찮다.
뭔가 최첨단 세대를 살고 있는 기분을 잠깐 느낄 수 있다.

단점:
현재로썬 용량은 8기가가 한계.
일반 8기가 SD카드 보다 많이 비싸다.
카메라 전원으로 Wifi를 사용하는지라 배터리를 잡아먹는다.
카메라에서 Eye-Fi를 지원하지 않는 이상 수동으로 Wifi를 끌 수가 없다.
일반 SD카드보다 아주 약간 두꺼운편.

배터리는 일단 집에서 포스팅 용도로만 간단히 쓰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여행가거나 하는 경우에는 문제로 작용할거라 봅니다.
놀러가서 수시로 wifi로 백업하는걸 장점으로 여긴다면 모를까, 저라면 여행시에는 그냥 일반 16기가 SD끼고 다닐거 같네요.
개인적인 바램이 있다면… 그 정말 아무도 안쓰는 SD카드에 달린 Lock 스위치를 없애고 차라리 Wifi on/off 스위치를 달아놨으면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단점이 몇개 있긴한데, 그래도 뭐 집에서 포스팅용으로만 써도 아주 편하다는 걸로 다 상쇄하고 남습니다.
매번 메모리 빼서 노트북에 연결 할 필요가 없다는게, 사소하지만 의외로 큰 부분을 차지하거든요.

LG전자, ‘레고’로 공장 표준화 작업한다

(중략) … 연구원, 의사결정자, 실무자 모두 한방에 모여 직접 레고를 쌓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게 됐다”며 …

(중략) … “앞으로 레고를 더 많이 사서 창의적인 방법으로 표준공장을 정립하는데 더욱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

기사원문

이게 무슨 식물이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재미로 심었다가 좀 당황하고 있습니다. 촉수괴물이 되어가고 있어요. =_=

.

.

.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늘님이십니다. ;

전 그냥 적당히 파처럼 자라겠거니 했어요.
생전에 마늘쫑이 어떻게 자라는지 봤어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직접 따다 쓰니까 싱싱해서 좋네요.
얇게 썰려서 오일 스파게티가 되셨습니다.

냠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