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근엄님의 근엄공간에서 관련 포스팅 보다가 생각이 나서 트랙백..
지금 막 마시고 있는 로제와인 입니다.
2005년산 베린저(Beringer) 입니다.
집 근처 마트에서 세일하길래 둘러보다가 덥썩 집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단돈 4달러 라더라구요. =_=;
동네 가게 가면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켈리포니아 와인중의 하나로,
딱 보면 “이건 화이트 진판델(white zinfandel)포도종으로 만들었소!!” 라고 써있어서
저 같은 문외한도 참 알기 쉽습니다.
병들이 이것저것 많을땐 그냥 투명붉으스름한 와인이 있는 곳에 가보면 대부분
화이트 진판델류 와인들이지요. ^^
맛은.. 으음.. 어떤게 맛있는건지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태에서 뭐라하기 애매한데,
귀부와인만큼은 아니지만 달달한게 괜찮습니다. 어찌보면 약간 밍밍한것 같기도 하고..
처음에 따서 마셨을땐 좋다가 끝에 약간 신맛?인지 뭔가 코를 자극하는 맛이 약간 거슬렸는데 다음날 마시니까 그런게 없어진 것 같더군요. 그때 제가 이상했던건지, 며칠 지나서 맛이 달라진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아하하하
뭐, 계속 이것저것 마시다보면 언젠가 조금은 감이 오겠죠 뭐. -_-a
다른 것들도 아직 세일중인것 같으니 나중에 다시 한번 가봐야 겠네요..
하룻동안 숙성시키신건가요(…)
와인이라…아직 이쪽에선 비싼 품목이라고 뇌 속에선 분류되고 있는 물건입니다.(…)
부럽습니다… 저걸 서울에서 사려면 1만4천원~1만6천원이나 줘야 한다니까요? 그야말로 3-4배의 가격차.
귀부와인은 당도와 산도, 알콜도수가 모두 높고, 향과 여운이 길게 가기 때문에 귀부와인 먹은 직후에 저걸 먹으면 그냥 물먹는 기분이 들지도 모릅니다만… 저건 저것대로 나쁘지 않은 와인입니다. Zinfandel 종으로는 원래 레드용 품종입니다. 이걸 화이트 스타일로 만들어 로제를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와인들은 공기와 접촉이 좀 지나야 맛있다던데 과연 그런 것이었을까.. 생각중입니다.
맛이 열린다는게 어떤건지 아직 모르겠어서요..
그러고보면 정말 귀부와인이 떠올라서 더 묽다는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근데 두잔 마시고나니 발그레해져서 그 다음엔 맛도 모르겠더라구요. -.-
같은 포도라도 만드는 방식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는거였군요. 언제 chardoney쪽도 도전을 해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