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G를 너무나 만족스럽게 썼으나, 충전기 없이 하루를 간당간당하게 버티는 배터리 때문에 GK로 넘어왔습니다.
같은 내장형이긴하지만 배터리 용량이 3100mAh인지라 하루 반 정도는 너끈하리라 판단하였습니다.
다른 리뷰들 보면 장점들은 이미 많이 나와서 다들 아실테니 장단점중에 저는 단점을 조금 더 훑어보려 합니다.
※ 단점을 굳이 꼽는다는거지, 결코 GK가 나쁘다는게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일단 장점부터 간단히 –
오오 액정이 완전 조아. 픽셀도 안보이고 제로갭IPS 헉헉… 이거 LG폰에서 헤어나질 못하겠네.
G와 비슷한 모서리각. 제조사/통신사 로고 없는 전면.
충전기는 얼핏 보면 G랑 같은거 같은데 아닙니다. 1.2A에서 1.8A짜리로 바뀌었네요. 배터리가 커진만큼 기존껄로는 충전이 너무 오래걸리겠지요.
배터리 완죤 오래감. ㅜㅜ 대기시 전력소모 시간당 1%전후.
Q리모콘… 처음엔 뭐 옛날 PDA 시절도 아니고 적외선 통신 따위 왜 넣었대 싶었는데… 의외로 왓따 편하네요.
핸폰만 있으면 테레비나 에어콘 조절이 한자리에서 가능해요. 전혀 기대안했는데 이거 꽤나 만족스럽네요.
성능 무난하고 좋습니다. 빠릿빠릿하고 부드럽고. 3D게임같은건 핸폰으로 잘 안해서 모르겠고요.
이쯤하고 개인적인 단점들…
어쨰서. 왜. why. 도시떼. 전원버튼을 왼쪽에 붙여버린걸까요?
볼륨키 바로 위에 있어서 끄려다가 볼륨 높이게 되고, 한손 조작하다가 끌려고 양손 써야하는 일이 왕왕 발생합니다.
옵티머스 시리즈에서 볼륨다운+전원버튼으로 스크린샷을 찍을 수 있는데, 전에는 한손으로도 가능했던게 이제는 양손으로 손목을 비틀어가며 해야 합니다.
이거 너무나 불편합니다.
SD카드 및 심카드 슬롯 뚜껑은 하도 크고 구리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 각오를 해서 그런지 의외로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고요.
대신 심카드 슬롯은 좀 잘못 만든게 아닌가 싶은게… 일단 한번 끼우면 심카드 빼기가 아주 ㅈㄹ맞습니다. 핀셋이나 칼로 빼야해요.
뺄땐 니맘대로가 아니란다 뭐 이런 느낌.
블랙이래서 샀습지요. 요즘 왠지 화이트보다 멋진 블랙이 땡기는지라.
번쩍이는 유광도 뭐 자주 잘 닦아주기만하면 멋있거든요. 정말 블랙인줄 알았어요.
근데 이게 햇빛에서 잘 보면 이게 짙은 블루블랙. 블랙이라길래 그냥 제트블랙인줄만 알았는데…
요 사진엔 파란색이 좀 강조되어 나왔는데 평소에 그냥 보면 검은색에 조금 더 가깝습니다. 이건 호불호가 나뉘는거라 이쪽을 더 선호하시는 분도 있을거 같네요.
화이트는 무광이니까 괜찮을거 같은데, 블랙버전은 뒷면 유광 도색이 그리 말끔하지 못하다는 느낌.
매끈한 피니쉬라기보단 Olleh글씨나 그런데 잘 보면 아주 살짝 표면이 울어있는게 보입니다. 뭐 크게 신경쓰이는 수준은 아니지만요.
뒷면을 옵G처럼 패턴을 넣은 유리로 해줬으면 훨씬 고급스러웠을텐데.
LG옵티머스 시리즈의 엄청난 장점이었던 완벽에 가까운 순정 백업/복원 기능. 근데 GK에서는 이전 버전과 호환이 안됩니다. —
G에서는 백업하면 확장자가 *.sdf로 저장이 되는데 GK에서는 &.ldf로 저장이 되더군요. 제조사 홈피에도 인터넷 그 어디에도 호환 방법이 없습니다.
백업/복원 기능을 넣어주면 뭐하나… 호환이 안돼서 옵G로 백업해놨던걸 못써먹는데…
덤-
블랙 유광의 숙명. 지문범벅.
잘만 닦아주면 이쁘긴한데…
오… Made in Japan 입니다.
해외구매로 SSD가 256GB 입니다. 아 램도 8GB로군요.
오… “챡~”하고 열리는데 감탄이 나옵니다.
마감은 아주 예술 입니다. 정말 이쁘고 멋진 하드웨어란 생각만 들어요.
키감도 꽤 좋습니다. 오른쪽 쉬프트를 많이 쓰시는 분들은 살짝 불편할지도.
노트북에 있을만한건 다 있습니다. USB 3.0 두개, HDMI, VGA, 랜 포트, 메모리 리더…
안쪽에 필름 케이블이 보이고 해서 내구성이 떨어지진 않을까 싶었는데 괜찮아 보입니다.
마법의 글자. VAIO.
참 아쉬운건 와콤이 아니라 n-Trig를 썼다는 거네요. AAAA 배터리가 하나 들어갑니다.
타블렛 모드. 음… 소감은 나중에 몰아서.
아… 참 뽀다구 나고 이뻐요. 
결국 외출시에는 고민 때리다가 6년된 바이오 TZ(왠지 모르게 부활했음!)를 들고 나가게 됩니다.
친구로 부터 하사 받은 무제한 3G 데이터 쉐어링 칩(일명 무적칩)이 있었기에, 망설임 없이 출시 되자마자 구입.
구성품은 매우 단촐. 본체와 케이블 그리고 충전기. + 심카드 빼는 핀.
액정은 무난한거 같아요. PPI는 높은편이라 텍스트 읽기도 편하고…
AT&T 마이크로 심카드가 동봉 되어있긴 한데 쓸모는 없구요.
무적칩이 일반 심카드였기에 커터칼로 열심히 잘라줍니다.
그럭저럭 무난하게 좋은 속도.
젤리빈 4.2 기본 탑재. 근데 30메가쯤 되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한번 하더라구요.
디자인이 이뻐서 구입했던 엑페 아크 입니다. 엑페는 옛날 윈모 깔려 나온 엑페 X1 이후로 처음이네요.
곡선형 뒷테와 옆테가 매우 아름답습니다. 이런 아가씨틱한 디자인 좋아요.
저번에 찬양한 Take LTE 핸폰에 쓰인 스냅드래곤 S4 칩이 라우터 칩셋을 가린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_-
아마 라우터중에서는 제일 이쁘지 않나 싶습니다. 앞면만 봐선 라우터인지 모를거에요.
2.4GHz와 5GHz의 듀얼밴드. 2.4GHz 내장 안테나 2개, 5GHz 내장 안테나 3개. 기가빗랜.
이야…

구성품. 무난 합니다. 근데 한국 스마트폰들 보면 다 배터리 두개에 여분 배터리 충전기를 넣어주는데, 기왕 이럴거면
디자인도 무난하게 괜찮습니다.
뒷면 디자인은 호불호가 좀 갈리는 것 같습니다만 개인적으론 이 정도면 충분히 괜찮다고 봅니다.
기본 런쳐는 그냥 무난합니다. 오히려 크게 손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점수를 주고 싶네요.
맘에 드는 서브 노트북 찾아 삼만리… 드디어 그 종착역 입니다. 샘숭 2012년 시리즈 9.
겉 박스를 벗기면 안에 한층 고급스런 박스가 들었습니다. 신경 많이 쓴 티가 나서 좋더군요.
박스 내부 디자인은 맥북에어랑 똑같다느니 말이 많긴한데 뭐 별로 신경쓰일 정도는 아니구요.
메뉴얼 기타 잡다구리 종이들과 귀여운 파워 어댑터, 랜 어댑터가 들었습니다. HDMI연결 어댑터가 안들어있는건 좀 단점.
색상은 건메탈 계열인데, 이게 사진에는 잘 안보이는데 약간 푸르스름한 기운도 있고 정말 색상이 이쁘게 잘 나왔습니다.
옆 라인도 맥북에어보다 훨씬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전자기기에 삼성 로고는 쫌 에러라고 생각하는 편인데,
USB는 2.0과 3.0 하나씩해서 두개. SD카드 슬랏 하나. 미니 HDMI랑 LAN 구멍 하나씩.
무려 International Warranty 입니다. 생각치도 못한 부분이라 매우 좋았어요.
트랙패드는 맥북 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윈도 노트북 계열에서는 매우 보기 드물게 넓고 고급스러운 편 입니다. 
아아…

아아아아앙…
전체적으로 매우 아름답게 마감처리 되어있고 신경쓴 흔적이 많이 보여서 좋긴한데요.
크게 활용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없으면 또 미묘하게 불편하고.
일단 하나 갖고 있으면 여러모로 편하긴해요. 
프리오더 넣어뒀던 PS 비타 입니다. 여러모로 말이 많은 메모리는 그냥 무난하게 8기가로 샀어요.
